공무원연금개혁을 주도했던 이근면 전 인사혁신처장과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을 주축으로 하는 연금연구회가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국민연금 개악법’에 대한 재의요구권 행사를 촉구했습니다. 연금연구회는 24일 성명을 통해 “국민연금 개정안 통과 이후 청년층의 분노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며 “세대 간의 불공평을 심화시키며 더 지속이 불가능하게 개악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연구회는 특히 연금 국가지급보장 명문화 규정에 대해 “국가가 연금 지급을 보장하니 청년층은 연금 받을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취지”라며 “문제의 핵심은 누가 연금지급보장의 책임을 질 것이냐에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법 조항만 만들어 놓고서, 정작 청년세대가 연금을 받을 시점에 가서는 연금 줄 돈이 없다면, 이는 청년세대를 한 번 더 기만하는 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세대별 차등부담이 관철되지 않았다는 점도 문제로 삼았습니다. 연구회는 “세대 간 불평등을 줄이고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동조정장치 도입과 연령별 보험료 차등 부담안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재논의는 불가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연금개혁 논의에서 청년 세대가 사실상 배제된 점도 비판했습니다. 연구회는 “이번 연금개편안은 가장 큰 이해 당사자인 청년세대 의견이 철저하게 무시되었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며 “청년세대가 수긍할 연금개혁 내용이어야만, 정치적 또 재정적인 측면에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크레딧 부가에 대해서도 실제 부담을 하게 될 청년층에는 덤터기가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연구회는 “재정이 대폭 투입될 크레딧 소요 재원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없다”면서 “현재의 크레딧 제도조차도 전체 소요 비용의 70% 이상을 후 세대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크레딧 확대라는 생색만 내면서, 정작 막대한 소요재원은 청년층과 미래세대에게 덤터기 씌워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꼬집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